안녕하세요, 여러분들의 건강 전도사 그린캐릭터입니다:)
오늘은 '벌크업(Bulk up)'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벌크업이란?
벌크업(Bulk up)이란 체지방 증가를 감수하면서 골격근 등 다른 체성분을 증가시키는 것입니다.
조금 쉽게 설명하면 몸의 덩치를 키우는 것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몸의 덩치가 커지기 위해서는 골격근량과 체지방량의 증가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요,
벌크업은 어느정도의 체지방량 증가를 감수하면서 골격근량을 동반 증가시키기 때문에 몸을 만드시려는 많은 분들이 시도하는 방법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벌크업과 비슷한 개념으로는 린매스업(Lean Mass up)이라는 것도 있습니다.
린매스업은 체지방을 제외하고 골격근 등 다른 체성분을 증가시키는 것입니다.
체지방증가를 제외하기 위해서는 더 엄격한 식단 조절이 필요하며 몸의 전체적인 사이즈를 단기간에 키우는 것이 벌크업보다는 더 어려운 것이 사실입니다.
<핵심 요약>
벌크업 = 나는 골격근을 늘리기 위해 체지방이 조금 붙어도 감수하겠다 = 조금 편히 먹으면서 덩치를 키우겠다
린매스업 = 나는 특정 기간동안 체지방은 그대로 유지하고 골격근만 조금 더 늘리겠다 = 빡센 식단을 동반하며 덩치를 키우겠다
벌크업하는 방법
벌크업하는 방법은 생각 보다 간단합니다.
평소보다 식사의 양과 빈도를 늘리고 운동의 강도를 높이는 작업을 하면 됩니다.
일반적인 사람은 하루에 아침, 점심, 저녁 3끼를 먹고 종종 운동을 하곤 합니다.
하지만 벌크업을 하기로 한 사람은 하루 식사량을 4끼 이상으로 하며 단백질 위주의 식단을 통해 영양소를 평소보다 과잉 섭취해야 합니다.
그리고 섭취한 영양소를 강도 높은 근력운동을 통해 에너지원으로 소비하게 된다면
근육성장과 더불어 전체적인 신체의 볼륨감을 극대화 할 수 있습니다.
벌크업의 현실
네츄럴로 운동하는 사람들에게 좌절스러운 소식처럼 들릴 수 있겠지만 벌크업은 사실 근비대에 한계점 명확히 있습니다.
만약 자신이 제대로 된 소위 말하는 쇠질(근력운동을 포함한 각종 웨이트트레이닝)을 해보지 않았던 사람이라면 벌크업의 효과를 확실하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어느정도의 운동경력이 있고 근신경이 발달된 사람들은 벌크업이라는 것을 통해 근비대를 노리는 것이 그리 현명한 방법이 아닐 수 도 있습니다.
개인차가 있겠지만 벌크업을 통해서 일정수준까지 끌어올리 수는 있어도 보디빌더만큼의 사이즈를 만드는 건 거의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일반적으로 단기간에 골격근이 극명하게 많이 늘어나는 사람들은 스테로이드와 같은 불법약물 사용했을 가능성이 큽니다.
벌크업은 근비대를 목적으로 하나 그 목표를 보디빌더 사이즈로 키운다는 것은 너무 현실과 동떨어지는 방향이라고 생각합니다.
많은 운동 초보자분들이 벌크업을 핑계로 고칼로리의 무리한 음식섭취와 감당할 수 없는 양을 섭취하곤 하는데 이런 행동은 우리 신체 내부에 아주 악영향을 주며 각종 소화기질환을 유발할 수 도있습니다.
체계적이지 못한 벌크업식단과 운동은 '살크업(살만찌는 현상)'을 초래하며 식사에 지불하는 경제적인 문제도 가져올 수 있습니다.
벌크업 보다는 린매스업 방법을 더 추천드립니다.
벌크업이나 린메스업은 결국 둘 다 골격근 증가를 위해 하는 행동으로 그 궁극적인 지향점은 동일합니다.
똑같은 체중에 똑같은 체조성을 가진 사람이 린매스업이나 벌크업을 통해 한 달 안에 증가시킬 수 있는 골격근의 양의 거의 차이가 없습니다.
(두 방법 모두 대략적으로 한 달에 골격근량 1kg정도 증가하면 정말 엄청나게 많은 양을 늘렸다고 보시면 됩니다.
같은 방식으로 12달 즉 1년 벌크업,린메스업을 해도 절대 12kg의 골격근량이 늘어날 수 없습니다. 꿈 같은 이야기입니다.)
조금 더 클린한 식단 조절을 통해서 근성장을 노리시는 것이 중장기적으로 더 나은 대안이 되실 겁니다.
체지방량 증가가 골격근량 증가를 엄어서지 않는 선에서 잘먹고 운동 많이 하는 것이 Best이니 벌크업에 대한 환상은 조금 뒤로하시기를 조심스럽게 권고드립니다:)
저의 벌크업 관련 정보가 도움이 되었다 정말 좋겠습니다.
오늘도 건강하고 좋은 하루 되세요~:)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혈압은 근력운동을 하면 위험!?(고혈압환자의 근력운동법) (0) | 2021.01.05 |
---|---|
제로콜라의 불편한 진실 (진짜 0kcal일까? 제로콜라의 안정성은?) (0) | 2021.01.05 |
유청단백질에 대해 알아보자(feat.WPC,WPI,WPH) (1) | 2021.01.04 |
인바디 보는 법(feat.골격근량, 체지방량) (0) | 2021.01.03 |
대상포진의 증상과 예방법(대상포진에 좋은 음식,특징 등) (1) | 2020.07.19 |
댓글